청주의 새로운 콘텐츠 초정10경
상태바
청주의 새로운 콘텐츠 초정10경
  • 충청투데이
  • 승인 2018년 05월 31일 19시 35분
  • 지면게재일 2018년 06월 01일 금요일
  • 23면
  • 지면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세이]
변광섭 컬처디자이너·에세이스트


세종대왕이 1444년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행궁을 짓고 121일간 요양한 초정리 일원이 새롭게 변신하고 있다. 세종대왕 초정 르네상스를 다양한 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해 행궁을 조성하고 있는 것이다. 어디 초정뿐이던가. 주변에는 세상 사람들에게 진한 향기와 추억을 줄 수 있는 공간들이 많다. 이름하여 초정10경이다.

제1경 초정약수. 미국위 샤스타, 영국의 나포리나스와 함께 세계 3대광천수다. 똑 쏘고 시원한 물 맛이 산초 같으며 피부병과 위장병 등에 효험이 있다. 그래서 세종대왕이 이곳에 머무른 것이다. 세조도 다녀갔다.

제2경 구라산성. 구라산성은 신화와 전설의 숲이다. 아홉 딸과 한 아들에 대한 전설, 삼국시대 쌓았다는 성곽의 비밀, 고단한 삶의 쉼표를 만들고 여백의 미를 찾기 위한 세상 사람들의 발걸음, 그리고 수백 년 수령의 소나무가 의연하게 굴곡진 역사를 지키고 있다.

제3경 저곡리 풍경. 농민들에게 농사는 경전이고 종교이며 운명이다. 마을 입구에 보호수인 회화나무가 늠름하다. 회화나무는 과거급제를 하거나 큰 벼슬을 하는 사람이 생길 때 심는 나무다. 닥나무가 많아서 저곡(楮谷)리다. 100년 된 방앗간 풍경이 마을카페로 변신했다.

제4경 운보의 집. 운보는 말년에 어머니 고향인 형동리 산자락 12만㎡에 전통한옥을 비롯해 미술관, 조각공원 등을 꾸몄다. 운보가 생전에 생활했던 모습과 창작 정신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유품들이 있다. 말 대신 붓끝으로 세상과 뜨겁게 소통하고 사랑했던 운보의 생을 만나보자.

제5경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석조여래입상. 어머니의 자애를 보는 것처럼 마음까지 포근하다. 비중리 입구에 있는 보물 제1941호 석조삼존불좌상과 석조여래입상은 돌을 다듬어 만든 불상이다. 그 앞에 서면 석공의 미세한 떨림과 곡진한 마음이 끼쳐온다.

제6경 홍양사와 삼세 충효문. 홍양사는 안정라씨(安定羅氏) 조상의 공덕을 기리는 곳이다. 조선시대에는 무려 15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보위하며 식량조달에 힘쓰고 좌의정에 오른 사람도 있다. 삼세 충효문은 이 동네 나사종 가문의 삼세대에 걸친 충효정신을 기리는 곳이다.

제7경 의병장 한봉수 장군. 동에 번쩍, 서에 번쩍! 내수읍 세교리에서 태어난 한봉수는 어려서부터 날렵했다. 별명이 번개대장이었다. 일제의 반격이 거세지자 무기와 연장으로 무장했다. 일제가 오가는 길목에 밤낮으로 진을 치고 있다가 맞서 싸웠다.

제8경 독립운동가 손병희 생가. 의암은 3·1운동과 동학농민운동 지도자다. 의암은 1882년(고종19) 20세 때 동학에 입교, 2년 후 교주 최시형을 만나면서 빼앗긴 조국을 찾는 일을 시작했고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3·1운동을 주도했다.

제9경 최명길과 전주최씨 세거지. "대감은 이 문서를 찢지만 나는 주워 맞추리다" 병자호란 때 청의 침략이 시작되자 최명길이 항복문서를 썼다. 최명길은 쇠퇴해 가는 명에 대한 의리만 지킬 것이 아니라 새롭게 부상하는 청과의 관계 정상화를 촉구했다. 지혜로 빛났고 위기의 나라를 찾고자 했던 그의 정신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제 10경 증평 좌구산과 김득신. 김득신은 59세에 이르러서야 과거에 합격해 성균관에 들어갔다. 시 1,588,수와 글 182편이 실린 ‘백곡집’과 시 비평집인 ‘종남총지’를 남겼다. 삼기저수지와 김득신공원을 지나면 좌구산휴양림이 있다.
빠른 검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