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낱말속사연] 충공도(忠公道)와 공청도(公淸道)
상태바
[낱말속사연] 충공도(忠公道)와 공청도(公淸道)
  • 충청투데이
  • 승인 2019년 03월 05일 20시 00분
  • 지면게재일 2019년 03월 06일 수요일
  • 22면
  • 지면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동우 YTN 충청취재본부장

고려 이후 행정구역인 도(道)는 당시 인구가 제일 많은 목(牧:지방 행정단위)과 그다음의 목의 첫 글자를 따서 8개 지역으로 나뉘었다. 충청도는 지금의 충남북과 대전에서 당시 인구가 가장 많은 '충주'와 그다음 '청주’의 첫 글자를 딴 것이다. 충청도의 탄생은 고려 1106년(예종 1년) 때다. 이 충청도가 공청도 등으로 바뀐 일이 있었다. 삼강오륜(三綱五倫), 역모(逆謀)를 범한 죄인이 있으면 죄인의 지역 명을 빼고 인구가 그다음인 지역 명으로 일정 기간 동안 교체하는 제도가 있었다. 이 제도에 얻어걸린 도 가운데 충청도가 가장 많았다.

충청도는 가장 먼저 '충공도'로 바뀌었다. 1505년(연산군 11년) 연산군은 규간(規諫:그릇된 일을 고치도록 말함)하는 환관 김처선(金處善:고향 全義,지금의 세종시)을 활을 당겨 죽였다. 분을 이기지 못한 연산군은 그의 양자인 환관 이공신(李公信)도 죽였다. 이공신의 고향이 '청주'였다. 당연히 청주목은 강등됐다. '청주'가 빠지고 그 자리를 인구가 청주 다음으로 많은 '공주(公州)'가 대신해 '충공도'가 된 것이다. 1539년 (중종 35년) 충주목에서 세곡(稅穀)과 환곡(還穀)을 몰래 빼돌려 팔아먹은 자들이 붙잡혀 처형됐다. 중종반정으로 되찾은 '충청도'는 곧바로 '충주목'이 '예성군'으로 강등되면서 박탈됐다. 대신 '공주'가 들어와 '청공도'로 바뀌었다. 충청도는 1735년 (영조 11년) 때 더욱 비참한 처지가 됐다. '이인좌의 난(소론이 주도한 반란)'에 연루된 소론들의 출신인 청주와 충주, 나주, 원주가 모조리 '목'에서 '현(縣)'으로 강등되면서 충청도 명칭에서 '청주'와 '충주'가 모두 빠져 버렸다. 역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공주'와 네 번째인 '홍주(洪州:지금의 홍성)'을 넣어 '공홍도(公洪道)'로 변경됐다.

충청도는 366년 동안 20차례 명칭의 박탈과 회복을 거듭했다. 1862년 (철종 13년) '공충도'에서 1871년 (고종 8년) '충청도'로 환원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빠른 검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