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주거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상태바
소규모 주거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 충청투데이
  • 승인 2015년 12월 08일 20시 10분
  • 지면게재일 2015년 12월 09일 수요일
  • 20면
  • 지면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요광장] 박월훈 대전시 도시재생본부장
지난 1월 대흥동 옛 충남도청사로 도시재생본부 사무실을 옮긴 후 근처에 사는 노인 분들을 자주 만난다. 노부부가 서로 의지하며 함께 사는데 “재개발인가 뭔가 한다고 동네사람들 도장 받으러 다니더니 요즘은 뜸 한데 어떻게 되는 것이냐?”는 질문도 자주 받는다.

대전시는 2006년 6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해 그동안 10여년 주택 재개발, 재건축등 정비 사업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2008년 미국 발 금융위기로 건설경기가 침체 되면서 정비사업 대부분은 제자리걸음이고, 건축행위가 제한돼 증개축도 못하고, 언제 시행될지 모르는 상황에 도시가스공급마저 어려워 주민 불편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5월 2020년 대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일부변경을 착수해 올 8월 초 기본계획 변경을 마무리하고 고시한다.

주요 내용은 사업추진이 어려운 지역은 정비예정구역을 해제하여 주민 불편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사업 추진의지가 있는 지역은 용적률 상향 등 사업 여건을 개선하여 사업 추진이 가능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되는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에 대한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5~6년 전 건축물이 노후 돼 정비구역으로 지정했다가 사업 추진 반대 또는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해제된 정비구역이 50개소인데 현장에 가보면 노후 된 건축물과 공·폐가가 주택지 군데군데 흩어져 있다. 이를 방치 한다면 쓰레기 투기장으로 변하거나 주변 지역에 악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 한일이다. 대전시는 위와 같이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지역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기타 열악한 지역을 대상으로 대규모 정비 사업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 보완하여 소규모 주거정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마침 수년 전부터 추진해 오는 성남동, 인동 및 오류동 순환형 임대주택 건립사업이 2016년 상반기 중에 성남동 99세대를 필두로 점차적으로 완공될 예정이어서 사업추진에 좋은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당초 마을에 살고 있는 원주민이 정비사업 이후에 재정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것은 마을단위 커뮤니티를 유지하는 것을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사업방식이라는 것이다. 또한, 주민이 주도하는 맞춤형 정비사업으로써 주택의 크기, 구조는 물론 토지를 공동 개발하므로 발생하는 공간을 텃밭, 공원, 주차장 등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은지 주민들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이들이 원하는 용도와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새롭게 시도되는 소규모 주거정비사업의 성패는 주민과의 소통과 신뢰를 쌓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평생 일궈놓은 재산에 대한 문제기이기 때문에 두 세 사람이라도 주민의 합의를 이끌어내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시민과의 소통과 교육, 홍보를 위해 지난 6월 24일 개소한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중간 지원조직으로서의 역할을 잘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사업은 올 하반기부터 사업대상지 선정 과정부터 시와 구청 및 도시재생센터 그리고 주민들의 협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빠른 검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