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춘추] 충남 예술인 복지증진을 위한 제언

맹붕재 전 충남문화재단 본부장·전 당진시의원

2021-03-16     충청투데이

양승조 충남지사는 민선7기 도지사에 당선되면서 공약사항 이었던 정무부지사를 문화체육부지사로 명칭 변경을 했다. 그 의미는 문화예술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뜻이다. 이에 충남도는 예술인의 직업적 지위와 권리를 보호하고 예술인 복지증진과 창작 활동을 활성화해 문화예술발전에 이바지하고자 법적 근거와 실효성 확보를 위해 '충남도 예술인 복지증진에 관한 조례'를 지난 연말 만들었다.

주요 내용은 예술인의 지위와 권리를 보호하고, 예술인의 복지증진에 관한 시책을 수립·시행하고 예술인의 권리향상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5년마다 충남도 예술인복지증진 계획을 수립한다는 것이다. 또한, 충남문화재단은 충남도 예술인의 활동 여건과 활동 실태, 복지 수요 등을 파악하고 예술복지정책의 기반 조성을 위하여 세부 지역별·장르별 실태를 조사한다.

충남지역 내 활동의 어려움으로는 경제적 어려움이 45.3%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지원사업 특정 장르편중(12.3%), 도민의 낮은 관심(10.1%), 창작 활동 공간마련(8.8%) 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경제적 어려움은 예술활동을 하는 예술인이 공통으로 겪는 부분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지원사업의 장르 다양화와 창작공간 지원 등이 지역 내 예술활동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즉 예술활동을 전업으로 해서 경제생활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의미이다.

수입 지표를 2018년 예술인 실태조사와 비교해보면, 월평균 소득은 180만원으로 전국 평균 193만원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예술활동 관련 소득은 45만원으로 전국 평균(94만원) 대비 절반 수준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월평균 소득에서 예술활동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전국 평균(48.8%) 대비 크게 낮은 25.1%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술인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타 직종과 겸직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고 그로 인해 예술활동에 전념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충남도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정책을 살펴보면 1순위 응답 기준으로 '예술가(예술단체) 지원 조례와 제도 정비'가 28.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예술가(예술단체)를 위한 경제적 지원'(26.9%), '예술 창작 활동에 대한 지원 확대'(15.0%) 등의 순이며, 충남문화재단에서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정책은 '예술가(예술단체)를 위한 경제적 지원'이 23.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예술 창작 활동에 대한 지원확대'(22.6%), '예술가(예술단체) 지원 조례와 제도 정비'(20.5%) 등의 순이다. 충남도에서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사업을 살펴보면 '생활 안정지원'이 44.0%로 가장 높았다.

결론은 예술인이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에 충남형 예술인 수당을 신설하여 보다 안정적인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