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중심입니다" 대전시 '안전속도 5030' 등 보행자 중심 교통정책 발표
17일부터 일반도로 50km/h, 주택가·스쿨존 30km/h 제한 보행자중심 10대 과제 선정… 총 예산 1242억원 투입
[충청투데이 전민영 기자] 대전시 교통정책이 사람중심, 보행자 안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29일 정례 시정브리핑을 통해 ‘이제는 사람이 중심입니다’라는 주제로 ‘보행자 중심 교통정책’을 발표했다.
먼저 시는 내달 17일 도시부 도로의 제한속도를 시속 50㎞ 이내로 하향한다. ‘안전속도 5030’의 전국시행에 발맞춘 정책이다. 이에 따라 주거·상업·공업지역의 넓은 시내도로는 시속 50㎞, 주택가 이면도로와 어린이보호구역 등 보행자 안전이 강조되는 도로는 시속 30㎞로 제한된다. 다만 시속 70~80㎞로 대전으로 진입하는 도로 등 일부 6개 도로는 원활한 교통소통 확보를 위해 시속 60㎞로 유지된다.
시는 시민공감대를 형성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위해 4월 한달간 ‘안전속도 5030’ 집중 홍보기간으로 정하고 시민과 함께하는 거리캠페인 등 대대적인 홍보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최근까지 보고된 연구와 해외사례 등에 따르면 속도를 시속 10km만 줄여도 충돌시 보행자 중상가능성은 20%, 교통사고 사망자는 최대 24%, 제동거리는 2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안전속도 5030’과 함께 ‘보행자 중심 교통정책’도 추진한다.보행자 중심 교통정책은 보행안전 도시 조성을 위해 10대 과제 20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투입 예산은 1242억원이다. 2019년 대전지역 교통사고 실태분석 자료에 따르면 차대차 사고가 가장 많고(77.6%), 교통사고 사망자 73명중 차대사람 사고가 54.8%인 40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는 차보다 사람을 우선하는 보행자 중심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보행과 자전거’ 전담부서를 신설한다. ‘보행교통 개선계획 연구용역’을 통해 보행교통 활성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세부 정책들을 살펴보면 무단횡단사고의 원천적 차단을 위해 대전도시철도 1호선보다 5km가 긴 27km 구간에 무단횡단방지휀스와 보행자 방호울타리를 집중 설치한다. 야간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 교차로 조명탑과 횡단보도집중조명도 2022년 상반기까지 설치한다.
우회전 차량의 주행속도가 높아져 교통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130개소의 교통섬에 속도저감을 위한 고원식횡단보도를 설치하는 등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한다.
이와함께 걷고 싶은 보행로 조성을 위해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조례(가칭)’를 제정해 보행환경평가위원회를 운영한다. 덕수궁 보행전용거리와 같은 ‘원도심 보행특구 조성’과 트릭아트 도로 등 ‘재미있는 보행로’, 요일별 특색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보행전용거리인 ‘어울참 거리’도 조성할 계획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내 가족과 이웃의 안전을 위한 안전속도 5030에 시민들의 동참을 당부드린다”며 “보행자 안전을 위한 다양한 교통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민영 기자 myjeo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