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추진 음악창작소, 장소·내용 놓고 시끌시끌
믹스페이스, 공연장 기능 떨어져… 지하에 위치한 것도 지적 녹음·연습실 중요한데 세부 계획안은 공연장이 절반 이상
2021-03-29 서유빈 기자
최종 장소로 선정된 믹스페이스(구 대전극장)는 수년 전 대전문화재단이 음악 공간 지원을 위한 시장 조사 당시 부적격 판정을 내렸던 곳일뿐더러 음악창작소 사업의 본래 취지인 음반 제작·창작의 기능과도 동 떨어져 있다는 지적이다.
29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23일 문화체육관광부 ‘2021 지역기반 음악창작소 조성’사업에 대전이 최종 선정됐다.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믹스페이스가 대상지이며 내년 초 개소를 목표로 국비(10억원)·지방비(10억원) 총 20억을 투입해 녹음실과 연습실, 공연장 등의 공간을 조성하고 레코딩·믹싱 장비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미 10년 전부터 대전을 제외한 15개 시·도에 음악창작소가 마련돼 온 상황에서 후발 주자로라도 출발선을 넘어 다행이라는 의견도 나오지만, 일각에서는 음악창작소 본연의 방향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전 민예총은 지난 26일 성명서를 내고 대전시가 발표한 음악창작소 선정 내용을 정면 비판하기도 했다.
대전민예총은 “음악창작소 공간에서 가장 핵심은 녹음실과 연습실인데 세부계획안을 검토해보니 공연장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며 “이번에 대전음악창작소 장소로 선정된 믹스페이스는 500석 규모의 공연장을 갖추고 음악 공연장으로 운영해 왔을 뿐, 영화관을 개조한 구조적 특성상 관객들과의 소통이 순탄치 않아서 공연장의 기능도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믹스페이스는 4년 전 대전문화재단이 진행했던 음악 공간 지원 사업과 음악창작소 지원을 위한 시장 조사에서 부적격 판정이 났던 곳으로 확인됐다.
심지어 최종 선정지(믹스페이스)가 지하에 위치하고 있다는 한계점도 제기되고 있다.
지역문화예술계 관계자는 “현재 운영 중인 대구와 광주음악창작소의 경우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지하 공간을 활용한 공연장과 지상에는 지역 음악인과 시민들이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휴게실, 다목적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대전 믹스페이스의 경우는 이와 대조적”이라며 “대전형 음악창작소는 지역 음악인을 비롯, 시민들이 함께 어우러져 대중음악을 향유하는 만남의 장이 돼야 하지만 믹스페이스 부근은 오래 전 상권이 죽어 사람들의 발길이 끊긴 곳이고 지하에 위치하고 있어 음악창작소가 들어선다고 활기를 되찾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라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