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2050년까지 생활밀착형 도시 숲 1000개소 조성
[충청투데이 전민영 기자] 대전시는 기후변화의 심각성 확대로 국제적 패러다임이 된 탄소 중립 구현을 위해, 탄소 흡수원인 숲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도시 숲 확충을 본격화한다고 1일 밝혔다.
시는 이에 따라 미세먼지, 열섬현상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탄소중립 선도도시 추진하고 나섰다. 2050년까지 총 사업비 4150여억 원을 투입해 생활권 도시 숲을 1000개소 이상 조성할 계획이다.
‘도심 곳곳 어디서나 푸르게, 일상에서 누리는 녹색복지’를 목표로 도시의 질적 가치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기후위기 시대의 해법을 찾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공원, 녹지, 가로수, 숲, 정원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시민의 일상과 가까운 공간, 10분 이내 생활권 내 작지만 다양한 형태의 생활밀착형 녹지공간을 시도할 계획이다. 또한 도심 외곽의 녹색인프라 구축과 복원, 기존 조성된 도시 숲의 보전과 관리에도 힘쓴다.
특히 잠재공간을 적극 활용해 지역별 공원녹지 편차를 줄이고 녹색복지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사업의 유형으로는 ▲오염원을 저감시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기후대응 숲 ▲시민 쉼터와 소통공간이 되는 생활정원 숲 ▲아름다운 가로경관을 위한 명품가로 숲 ▲도시의 생태기능 회복을 위한 생태경관 숲 ▲산림을 가꿔 저탄소녹색성장을 도모하는 탄소상쇄 숲 ▲나무 심기 문화 확산을 위한 시민참여 숲이 있다.
시는 이 중 기후대응 숲의 일환으로 가시적 효과와 공공성이 높은 신규 시범사업을 올해부터 집중 추진한다. 이 외 2019년부터 추진 중인 도시 바람길 숲은 올해 완공된다. 새로운 형태의 실내정원 스마트 가든, 도시유입 오염물질을 거르는 미세먼지 차단 숲 등 기후변화 대응 모델로 정착한 사업과 가로수 조성, 옥상녹화, 쌈지공원 등 기존 사업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임묵 시 환경녹지국장은 “주요 탄소흡수원인 도시 숲의 다양한 효과를 극대화하고, 언제 어디서든 시민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생활권과 원도심을 중점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며 “숲은 현재 우리가 직면한 기후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숲에 대한 집중 투자를 통해 미래 세대를 위한 탄소중립 이행에 우리시가 선도적으로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민영 기자 myjeo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