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살고 싶은 충남’ 구호가 아닌 실천이 중요
사설
2021-04-01 충청투데이
충남도가 ‘청년이 살고 싶은 충남’을 목표로 올해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코로나19 등으로 발생한 경기침체의 악영향으로 청년층의 취업 기회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이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커지는 시점에서 발표된 충남도의 정책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도는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전략으로 구성한 청년정책에 올해 989억 원을 투입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희망을 씨앗을 선물한다는 전략이다.
앞으로 도는 청년일자리를 확대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충남형 지역균형발전 청년고용 사업 등 지역 주도형 청년일자리를 확대한다. 또한 청년농업인 영농 정착지원을 비롯해 청년창업가 양성, 청년소상공인 창업자금 지원 등 분야별 지원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청년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충남형 더 행복한 주택’ 공급 및 청년 농촌보금자리 조성, 청년셰어하우스 등을 운영한다. 복지·문화 증진을 위해서는 저소득 청년 자립을 위해 청년희망계좌를 개선하고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지급,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운영으로 이들의 수요에 맞는 건강개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복안이다.
충남도 청년기본조례에 따르면 도내 청년(19~39세)은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53만 4000명으로 전체 지역인구의 25.2%에 달한다. 하지만 지역 청년인구의 타 시·도 유출이 확대·가속화되고 있어 인구 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5년과 2016년에는 1100여명의 청년이 지역으로 유입됐지만 2018년에는 636명, 2019년 4321명이 지역을 등졌다.
지역의 청년들이 왜 타 시·도로 떠나는지에 대한 철저한 원인 분석을 통해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선제적 사회투자를 더욱 확대해 청년들에게 기회를 보장해 주는 한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기 바란다. 아울러 청년이 충남의 미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미래탐색에 필요한 교육과 취업 및 창업을 지원하고 주거·복지·문화 등에 적극 투자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청년이 살고 싶은 충남’은 구호가 아닌 실천이 담보돼야 한다는 점을 도는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