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는 화상수업과 '씨름'… 출석 확인·기기 결함 수업 한번도 버겁다
학생 출석확인에만 5분 허비 마이크 작동오류·접속문제도 교육부서 출결관련 지침 없어 미출석 땐 결석처리 어려워
2021-04-04 김중곤 기자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성윤(가명)이 들어왔니? 애들아 우리 5분만 더 기다려볼까?”
지난 2일 오전 9시 40분 서구 A 초등학교 5학년 교실에서 B교사는 텅 빈 교실에서 홀로 컴퓨터 화면을 바라보며 분주히 말을 내뱉고 있다.
실시간 화상수업 시스템인 ‘패들렛’에 들어오지 않은 학생을 챙기기 위해서다.
B 교사는 10분 전부터 방을 개설하고 전화와 문자로 학생들에게 화상수업에 들어오라고 알리는 일이 우선이다.
하지만 정시가 됐는데도 입장하지 않은 학생을 파악하는데만 귀한 수업시간 5분을 허비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수업은 전체 21명 중 4명이 빠진 채 시작됐고 이들은 끝내 들어오지 않았다.
일선 학교현장은 화상수업과의 전쟁중이다. 화상수업을 외면하는 학생과 수업을 참여 시키기 위한 교사와 학생간의 사투(?)는 언제까지일지 모르는 학교현장의 최대 고민거리다.
B 교사는 “확인하고 또 확인하는데도 문제가 생긴다. 지난해보다 원격수업에 적응하긴 했지만 아무리 많은 시간과 정성을 들여도 해결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니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학교현장의 고민거리는 또 있다.
화상수업에 들어오지 않은 학생들에 대한 출결관리 문제다. A 학교처럼 4명이나 수업에 참여하지 않았을 경우 이들에 대해 곧바로 결석처리를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A 교사는 “실시간 화상수업 자체가 변수가 많아 수업에 안 들어왔다고 결석 처리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며 “명확한 기준이 없다 보니 매 수업마다 난감하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로부터 내려온 출결 관련 지침이 없어 대면 수업과 같은 기준을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학생기록부가 진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 초등학교는 큰 문제로 작용하지 않겠지만 중학교와 고등학교들은 심각한 문제로 여겨질 수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비단 A 학교만의 문제가 아닌 것이다. 교육부가 확대한 실시간 화상수업으로 실제 초·중·고교학교 현장에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충남지역 한 초등학교 교사는 “실시간 화상수업에서 준비할 것은 훨씬 많은데 매번 애로가 발생하니 학습 효율은 떨어진다”며 “학생들도 굳이 실시간 수업을 안 들어도 된다는 걸 인식하고 있어 정규수업 시간에 학원을 가는 학생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푸념했다. 그는 “단순히 쌍방향 수업을 늘리라고만 할 게 아니라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 등 현실적인 대안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