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내 70여곳 폐교" 존폐위기 충북지역 대학의 현실

충북 올해 30% 미달 대학도 등록금 동결 직원 임금 삭감 코로나겹쳐 대학상권 황폐화

2021-04-05     김희도 기자

[충청투데이 김희도 기자] 올해부터 대입 정원이 입학생수를 넘는 '역전 현상'이 본격화되면서 전국 대부분의 지방대학이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설마했던 우려가 현실이 된 것이다. 서울 수도권부터 거리가 먼 지역부터 폐교할 것이라는 '벚꽃 피는 순서대로 문 닫는다'라는 예상이 빨리 찾아온 것이다. 충청투데이는 대학의 위기를 맞아 충북지역 대학의 현실, 지방대학 위기 원인과 대안 등을 짚어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상. 충북 지역 대학 현실>

충북 소재 대학들은 정원 미달 사태를 막기 위해 입학생 추가 모집과 더불어 입학 시 장학금 및 노트북 지급 등 인센티브를 내놓았지만 충청대 71.1%, 충북보건과학대 80.4%를 보이며 정원 충족에 크게 못미쳤다. 4년제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지난해 신입생 등록률 98%를 보인 극동대는 27.2% 떨어진 70.8%, 99.8%였던 세명대는 25.6% 떨어진 74.2%로 곤두박질쳤다. 지난해 등록률 100%에 육박했던 청주대와 서원대도 올해 각각 98.7%, 94.7%를 보이며 100% 충원에는 실패했다.

이들 대학은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 등으로 신입생 충원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막상 정원 미달 사태가 벌어지자 큰 충격에 휩싸였다. 특히 대학 운영예산 대부분을 학생 등록금에 의존하는 사립대학들은 이미 수년째 등록금과 교직원 임금을 동결하며 힘들게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

A 대학 관계자는 "'어렵다는 정도로는 현재의 위기를 설명하기는 부족하다"며 "이대로 가다간 당장 3~5년 후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들 대학은 교직원 보수를 '공무원법'에 준해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극심한 재정난을 겪고 있어 매년 바뀌는 공무원 봉급표를 준수하지 못하고 있다.


B 대학 관계자는 "2년 전쯤 임금이 인상됐다. 공무원법에 따라 매년 임금을 인상해야 하지만, 학교의 재정 사정이 과거만큼 좋지 않아 매년 임금 인상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C 대학 관계자는 "'학령인구절벽현상'이 심해지는 탓에 수년째 임금이 오르지 않았다"며 "물가는 매년 오르는 상황에서 임금 동결은 임금 삭감이나 다름없지 않냐"고 말했다.

이 같은 대학 위기는 해당 대학을 넘어 지역경제 위기와도 직결된다. 대학을 중심으로 형성된 식당, 카페 등 상권과 원룸촌은 주 고객층이 학생인 만큼 대학의 존폐는 주변 시장의 존폐로 이어진다. 지난해 불어 닥친 코로나19는 더욱 급속히 대학가 상권에 경기 침체를 불러오고 있다.

충북대 정문 인근에 부동산 중개소를 운영하는 C 씨는 "코로나19까지 겹쳐 원룸 임대업에 타격이 크다. 임차인 90%가 타지역에서 온 대학생들인데 비대면 수업으로 학교에 갈 필요가 없어져 빈방이 절반 이상인 곳도 많다. 원룸 공실률이 계속 올라가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가 문제다. 전문가들은 2년 뒤 전국에 70여 개 대학이 폐교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한다. 또 폐교는 학습권 침해, 교직원 일자리 감소 뿐만 아니라 인재 양성과 연구 기능 미흡으로도 이어져 지역 산업과 경제를 황폐화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이들은 "이러한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대학 자구책만이 아닌 정부와 지역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희도 기자 huido0216@cctoday.co.kr







 

上   충북 지역 대학 현실
中   지역 대학 위기 원인
 지역 대학 위기 해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