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새해 기준 입춘일까, 동지(冬至)일까?
상태바
사주 새해 기준 입춘일까, 동지(冬至)일까?
  • 충청투데이
  • 승인 2017년 01월 22일 16시 48분
  • 지면게재일 2017년 01월 23일 월요일
  • 20면
  • 지면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리학당 오원재 원장
[이상엽의 역학이야기]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해마다 새해가 되면 사주팔자로 운세를 보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좀 더 좋아지겠지 하는 바람과 조심해야할 일은 없는지 미리 점쳐보는 풍습이다. 풍 수해 등의 자연재해와 예측불허의 사건·사고가 빈번한 것을 고려하면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바람직한 전통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세간에 미신 또는 통계학으로 회자되는 사주팔자 미신일까, 통계학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미신도 통계학도 아닌 수천 년 전에 완성된 천문학이다. 이는 사주팔자 구성을 보면 확인된다. 그 사람의 출생 연월일시를 사주팔자라고 한다. 천체의 운동을 계산한 날짜[曆日]의 부호가 곧 사주팔자다.

여기서 사주팔자인 연월일시는 1, 2, 3 등의 일련번호로 날짜를 표기하는 양력과 음력이 아니다. 절기로 년과 월의 시종(始終)을 정하고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등의 60갑자로 날짜를 표기하는 24기절력이다. 이 달력과 사주팔자 정하는 기준이 맞지 않는다는 건 사주팔자 정하는 기준의 오류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주팔자의 새해[年柱]는 24기절력 연월일이 결정되는 기준과 동일하게 동지(冬至)를 기준으로 정해야 된다.

그런데 역리학계는 약 1000여 년 동안 년(年)은 03 시점과 같은 입춘점, 일(日)은 동지점과 같은 00 시점으로 제각각 정했다. 24기절력은 물론 그 어떤 역법과도 맞지 않게 잘못 정했다. 어찌 년과 일이 제각각 시작된다는 말인가.

입춘으로 보면 막일꾼 팔자, 동지로 보면 정치인 팔자!

현 역리학계는 농사짓는 일을 위해 입춘점으로 년, 인시점으로 일을 정했던 고대 중국 하(夏)나라 시대의 새해 기준보다 더 못한 엉터리 기준으로 새해를 정하고 운세를 점치고 있다. 이는 동지와 입춘 사이에 출생한 사람의 사주팔자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서기 1925년 음력 11월 23일 출생했고, 그해 동지는 음력 11월 7일이었다. 동지(冬至)로 사주를 정하면 호랑이띠(丙寅)가 되고 정치[大人]인 팔자가 되지만, 입춘으로 사주를 정하면 소띠[乙丑]가 되고 막일꾼 팔자가 된다.

사주 새해 기준의 오류는 동지와 입춘사이 출생한 사람들의 출생 띠도 정확히 모르게 했고, 길일과 흉일은 물론 좋은 궁합과 나쁜 궁합도 가리지 못하게 했으며, 그 사람에게 좋은 집터와 묘터도 선택하지 못하게 했고, 또. 택일을 해 제왕절개 수술로 출산한 경우 자연분만보다도 더 나쁜 운명을 갖고 출생한 사람이 많게 했다고 볼 수 있다.

사주학 새해 기준의 오류는 시급히 광정(匡正)되어야할 중대한 사안이다. 그러나 역리학 석·박사를 배출하는 학계는 아무런 학술적인 근거도 제시하지 못한 채, 공개 토론과 검증에 응하지 않는 건 학자의 양심을 버린 처사가 분명하다. 물론 새로운 진실을 인정하려면 그간의 오류를 인정해야 하는 고통이 수반되는 것도 이해한다. 그렇다고 오류를 알면서 침묵한다면 양두구육(羊頭狗肉)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빠른 검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