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투데이 문인수 기자] 그런 식이면 세종대왕이 후보로 나오고 이순신 장군이 후보로 나와도 욕먹는다. 저녁 9시 무렵이면 '존경하는 유권자 여러분'이 집에서 편히 쉴 시간이다. 라이트와 확성기를 요란하게 틀어 재끼며 골목길을 누비는 유세차는 스트레스 유발차다. 점점 멀어지던 소리는 다시 가까워진다. 유세 트럭은 오르막 끝까지 반환점을 찍고 반대편 내리막으로 종주를 벌인다. 설마 후보자가 그렇게 시켰을 리 없다. 함께 일하는 선거운동원과 소통하지 못하면서 유권자와 소통할 수 없다. 사람 부리기 어디 쉽나. 표 얻기는 어디 더 쉽나. 잘되는 집구석은 다 계획이 있다. 안되는 집구석은 이유가 가지가지다.
선거운동은 길거리 행위예술이다. 형형색색 점퍼를 걸친 선거운동원들이 모자와 마스크로 '마스크'를 거의 가리고 사거리 한쪽에 횡으로 도열한다. 하나둘셋 일제히 '폴더 인사'를 올린다. 몇 초간 허리를 접은 채 동시에 펴야 한다. 여기도 '몸치'는 문제다. 눈치 없는 한 분이 허리를 세우고 홀로 쳐든 것을 깨닫고 다시 접는 순간 다른 이들은 펴진다. 완벽한 불협화음이다. 운전석에서 이런 광경을 보고 있자면 스탠딩 코미디가 따로 없다. 또 다른 어떤 곳에서는 선거운동원들이 일사불란하게 '파도타기' 경지까지 보여주며 상대 후보 측 기를 꺾는다. 이런 협업은 추하지도 우아하지도 않고 그냥 우습다. 선거운동이 '명랑운동회'로 격하된 현상은 웃기고 슬픈 정치판 현실과 비례한다.
선거가 단순히 사람 하나 바꾸고 자리 몇 개 세우고 내리고의 일일까. 나라의 흥망성쇠 문제다. 21대 총선을 앞두고 20대 국회를 짚어본다. 13일짜리 선거운동 알바조차 열과 성을 다하면 행인들의 시선을 한 몸에 받는 판국에 4년 계약이 만료되는 20대 의원들은 국민에게 어떤 모습을 보여줬나. 꼬박꼬박 세비를 받아 갈 만큼 국가와 국민에게 충성했나. 민심은 시퍼런 쇼에 감동하지 않는다. 국회의 존재 목적은 대의민주주의다. 민주주의 핵심은 권력의 독점을 막는 '삼권분립'이다. 국회가 행정부 견제는커녕 권력 폭주를 제어하지 못할 바에 금배지를 달아야 할 이유가 없다.
권력을 견제할 것인가. 아예 권력 위에 올라탈 것인가. 지역구 예산 한두 푼 더 끌어다 주는 일이 시급한 게 아니란 말이다. 선거 전후의 무차별 '현금잔치'는 얼마 가지 않아 온갖 준조세와 더불어 갖가지 명목의 세금징수로 이어질 것이다. 소비재에 세금이 붙어 물가 상승도 예고된다. 국민의 아우성은 극에 달했다. 임기 만료를 앞둔 의원들은 세비부터 반납하라. 20대 국회의원들의 근무태도는 몇 점일까. 21대 국회는 '의원 먹튀 방지법'이라도 제정해야겠다.
문인수 기자 mooni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