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 점검… 문제점 대안 제시
권중순 의장 “책임의정 구현”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의회가 집행기관의 중점 사업에 대해 견제와 감시를 한층 더 강화한다.
특히 올해를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른 진정한 지방분권 국가로 가기 위한 지방자치의 원년으로 삼고 견제라는 의회의 본 기능에 초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4일 시의회에 따르면 집행부의 주요 사업을 선택해 소통과 협치, 협력과 견제의 의정을 펼친다.
우선 지방의회 견제·감시 역할 강화의 일환으로 각 상임위원회별로 상임위원장 회의를 거쳐 2~3개 사업을 선정했다.
그 결과 대전시와 대전시교육청 등 집행부의 주요 12개 사업을 선별했다.
시 소관의 △2022 대전 세계지방정부연합 총회 개최 △사회적경제혁신타운 조성 △베이스볼 드림파크 조성 △대전의료원 건립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 △도심 생태·녹지축 연결사업 △스타트업파크 및 재도전 혁신캠퍼스 통합조성 △과학기술인과 기업인 협업플랫폼 ‘어울림플라자’ 구축·운영 △시내버스 일부 공영제 도입 검토 용역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등이 선정됐다.
시교육청 소관으로는 △학교 다목적체육관 설립 추진상황 △학교시설 개방 확대 추진상황 등이 뽑혔다.
앞으로 시의회는 집행기관의 주요 중점관리 12개 사업을 집중 검토할 전망이다. 상반기와 하반기 각각 1회씩, 총 연 2회 시의회 자체 평가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부진하고 문제점이 있는 사업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분석해 집행기관과 함께 문제점을 도출해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등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시의회는 집행부 정상 추진사업에 대해서는 적극 협력해 대전의 발전을 이루는데 힘을 모으겠다는 계획이다. 견제·감시 가능 강화와 협력 등 통해 추진 사업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것으로 시의회는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강 시장 약 의회’의 구조에서 벗어나 시의회의 위상이 한층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앞으로도 의회의 책무를 게을리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권중순 의장은 "올해 남다른 각오로 21명의 동료의원과 함께 집행기관에 대한 견제·감시를 더욱 강화해 의회 본연의 책무에 충실하겠다"며 "실질적인 지방분권 실현을 위해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춰 시민들이 부여해 준 권한과 의무를 성실히 이행해 의회의 존재감을 여실히 보여주는 책임 의정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