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춘추] 다가오는 봄에는 코로나 이전처럼 등교하고 싶어요
상태바
[투데이춘추] 다가오는 봄에는 코로나 이전처럼 등교하고 싶어요
  • 충청투데이
  • 승인 2021년 03월 15일 19시 14분
  • 지면게재일 2021년 03월 16일 화요일
  • 19면
  • 지면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호 농협 청주교육원 교수

지난 5일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나 봄을 알린다는 경칩(驚蟄)이 지나갔다. 아직 밤낮의 기온차가 크고 쌀쌀한 바람이 여전히 차갑게 느껴져 겨울에 꺼내놓은 외투도 그대로 나와 있지만, 집근처 가로수에 피어난 꽃봉오리를 보면 봄이 성큼 왔음을 느낀다.

전국의 일선 학교들이 3월에 대부분 개학을 하여 초·중·고 학생들의 새학기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1년 전 시작된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전국의 많은 학교들이 온라인 원격수업 및 등교수업을 병행하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가 300∼400명대에 접어들면서 우리 아이들이 코로나19 이전 모습처럼 웃으며 등교하는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 하지만, 아직은 정부나 관련부처에서도 이후 사태를 주시하는 모습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1년이 지난 지금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 되고, 일상 속에서 마스크 착용이 당연시 되면서 등교하는 학생들 및 교직원도 의무적으로 마스크를 쓰고 생활하는 것에 어느정도 적응한 듯 싶지만 여전히 일선 교육현장에서 마스크를 쓰고 교육을 한다는 것이 만만치는 않다. 선생님과 아이들의 얼굴이 서로의 마스크에 가려진채 수업이 진행되다 보니 수업시간에 학생들과 선생님간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수업에 방해가 되며, 무엇보다 우리 아이들의 밝은 모습이 가려져 교실 분위기도 예전만 하지 못하다. 또한 온종일 마스크를 쓰고 교실에서 강의를 하시는 선생님들 역시 그 피로도가 상당하며, 아이들 역시 마스크를 쓰고 있어 체육수업, 음악수업 등 예체능과목의 실습위주의 교과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문제이다. 교육의 질적 문제 외에 우리의 학창시설에서 빠질 수 없는 추억거리인 운동회, 봄소풍, 발표회 등 많은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학부모의 시각에서는 안타까울 따름이다. 특히 초등학교 시절의 많은 체험활동이 어른이 된 시점에 행복한 기억으로 남아 세월이 지난 후에 큰 기쁨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소중한 시간들이 주어지지 않는 우리 어린학생들에게 그 시절을 누렸던 어른들로써 미안한 마음마져 든다.

대한민국도 이달부터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이 시작됐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의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노력덕분에 코로나19 일일 확진 자 수도 줄어드는 추세이나 코로나19 바이러스와의 싸움은 계속되고 있고 아직도 많은 국민이 코로나19로 인해 고통 받고 있으며, 또한 우리아이들 역시 학교에 가고 싶어도 등교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루 빨리 코로나19 바이러스로부터 해방이 되어 1년 전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 이전의 모습을 꿈꾸며 신학기의 학생들이 마스크를 벗고 웃는 모습으로 등교하는 날이 왔으면 한다.

빠른 검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