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시대(戰國時代) 말엽(末葉)초(楚)나라에서 태어난 이사(李斯)는 자신의 큰 뜻을 펼치기 위해 인재를 우대하는 진(秦)나라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승상 여불위(呂不韋)를 만나 가신(家臣)으로 있다가 그의 추천으로 벼슬길에 올라 나중에는 객경(客卿:타국 출신에게 주는 최고의 벼슬로 공경에 해당함)까지 올랐다.
이때 한(韓)나라에서 온 정국(鄭國)이라는 사람도 진나라에서 벼슬을 하고 있었는데 그는 논밭에 물을 대기 위해 운하를 만든다는 핑계로 진나라의 인력과 자원을 소진(消盡)시켜서 한나라가 있는 동쪽지방의 정벌을 막으려는 음모를 꾸몄다가 발각됐다.
그러자 왕족과 대신들은 타국에서 온 모든 빈객(賓客)들을 축출하자고 들고 일어났다.
이에 축출 대상에 포함된 이사가 상소를 올려 자신의 뜻을 전했다.
상소문의 마지막 부분에 다음과 같은 대목이 나온다.
“신(臣)이 듣기로는 땅이 넓어야 곡식이 나고 태산(泰山)은 한 줌의 흙도 사양하지 않았기 때문에(태산불사토양:泰山不辭土壤)그렇게 높을 수 있었으며 넓은 바다는 작은 물줄기 하나라도 가리지 않았으므로(하해불택세류:河海不擇細流) 그렇게 깊어질 수 있었던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군왕은 백성들을 물리치지 않아야 덕망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나라의 강산은 사계절을 번갈아가며 아름답고 귀신까지도 복을 내릴 것입니다. 이는 일찍이 삼왕(三王)과 오제(五帝)에게 적(敵)이 없었던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런데 진나라는 오늘에 와서 백성을 버려 적국을 이롭게 하고 빈객들을 내쫓아 그들이 진나라를 위해 공 세울 기회를 박탈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적에게 군사를 내주고 양식을 보내 주는 것이나 같은 것입니다. 진나라에서 나오지 않는 물건 중에 보배로운 것들이 많은 것처럼 진나라에서 태어난 인재보다 나라 밖에서 태어난 인재가 훨씬 많고 그 인재들 중에는 진나라에 충성하려는 이들도 많습니다. 지금 그들을 막고 빈객들을 내쫓으면 진나라의 내부 사정을 잘 아는 그들이 오히려 다른 나라를 위해서 일하게 될 텐데 그렇게 되면 진나라는 그들을 어찌 당할 수가 있겠습니까?”
이 상소문을 읽고 크게 깨달음을 얻은 진왕은 빈객들을 축출하려는 계획을 취소하고 오히려 이사의 벼슬을 높여 줬다.
<국전서예초대작가및전각심사위원장·청곡서실 운영·前 대전둔산초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