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한지 3년 후 수도권 이주하기도… 대전 앵커기업 육성·지원 시급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스타트업 육성에 집중하는 대전에 앵커기업으로 가는 질적 성장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스타트업 창업 후 시장과 고급인력, 자금지원을 위해 수도권으로 이주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선 1조원대 유니콘 기업으로 가는 성장사다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9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STEPI)에 따르면 기존 벤처기업 생태계 지원의 70%는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 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창업, 판로지원 등에 집중됐다.
매출액 1000억원 이상 벤처기업의 스케일업에 지원되는 30%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기술창업 위주의 벤처기업이 대다수인 대덕특구 역시 원천기술을 응용해 제품화하는 제조기반 중심이다.
중소기업 납품과 마케팅을 연결하는 모태기업, 앵커기업이 없고 벤처기업이 생산한 부품구매가 적어 수익창출에 한계가 있다.
실제 대덕특구에 2000여개의 벤처기업이 분포돼 있는데 대부분 B2B형 기술벤처기업이다.
코스닥 상장기업은 50여개에 불과하고, 카카오나 쿠팡, 위메프와 같은 시장서비스형 유니콘기업은 창출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소기업벤처부나 지자체의 기업지원은 대부분 창업을 시작한 스타트업에 집중돼 있고 이마저 중복지원이 많다.
반면 창업한 지 3년 이상 되는 중기업에 대한 성장 지원책은 미흡해 예비 유니콘 기업들은 초기단계가 지나면 수도권으로 이주하는 문제마저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덕특구의 기술사업화 성과가 미흡한 근본적인 이유를 ‘시장 수요’로 분석했다.
출연연 R&D 성과가 기술형 중소기업이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개발에 활용돼야 하는 대부분 기술공급자인 연구소의 기획에 맞춰 사업화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선 대덕특구 내 앵커기업 육성, 지원이 시급하다.
최근 관련 논문을 발표한 김상광 한국사회공헌연구원 전문위원은 “대덕특구 내 벤처기업 육성정책은 신기술을 보유한 기술기업의 스타트업에 집중돼 있으며 창업 이후 스케일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편”이라며 “앵커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유니콘 기업을 집단적으로 키워야 하며 중소기업과 출연연 연구개발 수주 및 마케팅 시장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