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예약·전자출입명부 미비치 탓
확진자 방문주점 신원파악 어려워
시·구·경찰 점검시 사전 조치 안해
최근 다수의 확진자가 발생한 대전 서구 유흥주점과 노래방은 그동안 출입명부를 작성하지 않고 영업해 온 것으로 확인됐으나 방역당국은 앞서 진행한 유흥시설 합동 점검에서 해당 사실에 대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30일 대전시에 따르면 감성주점 종업원(1252번)과 그의 동료 1259번, 손님이자 지인 1266·1267번 확진자가 함께 지난 22일에 방문했던 유흥주점과 노래방에서 추가 확진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횟집·감성주점을 매개로하는 n차 확진자는 모두 28명으로 늘었다.
이들 일행이 방문한 유흥주점에서만 종사자 4명(1268~1269번·1273~1274번)과 손님(1270·1272·1277번) 3명 등 모두 7명의 확진자가 추가로 나왔다.
해당 유흥주점 종사자는 80여명으로 파악됐으나 방문자 파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주점이 손님관리를 담당하는 직원 1명과 손님이 1:1 예약을 진행하는 형태의 영업을 해온 탓이다. 이에 따라 예약자 외 다른 일행들의 출입 기록은 남아있지 않은 상황이다.
방역수칙에 따라 비치했어야 했던 전자출입명부(QR코드)도 없어 감염병 차단의 핵심인 신속한 접촉자 파악과 검사가 늦어지고 있다.
여기에 해당 유흥주점에서 운영하는 룸에는 기본 3명의 종업원이 동석하는 등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1252번 일행이 방문한 노래방에서 외부 도우미들을 부른 정황이 포착됐는데, 출입자 명부 작성이 이뤄지지 않아 이들의 신원파악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시 방역당국은 해당 업소들이 위반한 방역 수칙들과 추가적인 방역수칙 위반 사항을 조사해 고발할 방침이다.
하지만 그동안 시·구, 경찰 합동조사를 통해 유흥업소의 방역수칙 위반 여부를 점검해온 만큼 사전에 관련 조치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한 지적이 나온다.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에 따라 유흥업소의 운영시간 등 규제가 풀렸으나 반대로 방역망 관리는 느슨해지면서 결국 재확산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정해교 대전시 보건복지국장은 “유흥주점의 QR코드 전자출입명부가 제대로 체크되지 않아 접촉자 파악에 애를 먹고 있다. 현재 해당 유흥주점과 노래연습장에 대해 2주간 집합금지 명령을 내렸다”며 “각 업소 운영자들은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주실 것을 당부드리며 앞으로 시는 전자출입명부를 활용하지 못하는 이를 위해 전화만 하면 자동으로 출입이 기록되는 안심콜 서비스를 대전 전지역에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후 7시 기준 충청권에선 △대전 5명 △세종 2명 △충남 4명 △충북 16명의 확진자가 추가로 발생했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