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공직자 부동산 투기의혹 조사결과 곧 발표
상태바
대전시 공직자 부동산 투기의혹 조사결과 곧 발표
  • 이인희 기자
  • 승인 2021년 04월 01일 20시 00분
  • 지면게재일 2021년 04월 02일 금요일
  • 3면
  • 지면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무원 등 8700여명 1차 검토 완료
추가 조사 뒤 이달 중순 발표 전망
유의미한 결과 나올지 이목 집중

[충청투데이 이인희 기자] LH 투기 의혹의 연장선으로 소속 공직자 투명성 제고를 위한 부동산 특별조사에 들어간 대전시가 조만간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라 경찰 수사 의뢰 확대 가능성까지 내다보고 있는 상황에서 이른바 ‘맹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는 앞선 세종시 전수조사와 다른 유의미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달 16일부터 구성된 부동산 투기 특별조사단 운영을 통해 지난달 24일을 기점으로 조사대상에 대한 1차 검토를 완료했다.

이번 특별조사는 최초 시 소속 공무원 약 4000여명에 이어 5개 자치구 등의 합동조사 필요성 제기에 따라 최종적으로 시와 5개 자치구, 지역 내 개발사업을 담당하는 대전도시공사 소속 직원 8700여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조사범위 또한 기존의 △도시개발(구봉·평촌·연축·계백·갑천지구) △택지개발(도안 2-1, 2-2, 2-3, 2-5지구) △산업단지(안산, 신동·둔곡, 탑립·전민지구) 등 12곳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1000㎡ 이상 전·답·임야 등으로 확대한 상태다.

1차 검토를 완료한 시 특별조사단은 현재 의문의 여지가 있는 부분들에 대해 세밀한 추가 조사를 진행, 이르면 이달 중순 최종 조사결과의 발표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얼마나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것이냐는 부분에 이목이 쏠린다.

최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및 시 공직자윤리위원회 발표의 공직자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 등을 통해 공직자들의 투기 의심 정황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는 점은 이를 반증하는 대목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주요 개발예정지 내 공무원의 토지 매입 사례가 최근들어 잇따라 수면 위로 드러난 점 역시 시 특별조사 결과를 통한 실체화가 이뤄지지 않겠냐는 전망도 나오는 상황이다.

다만 이러한 의심 정황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것과 달리 향후 조사결과 발표가 이른바 ‘파장’을 일으키지 못한다면 후폭풍이 상당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달 세종시가 스마트국가산단 관련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한 공무원 전수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기존의 경찰 수사대상 3명을 제외하고는 특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발표 직후 셀프조사 한계에 대한 냉혹한 평가가 이뤄진 바 있다.

이를 고려했을 때 지역 내 상당한 의혹에도 불구하고 시 특별조사가 성과 없이 마무리된다면 공직자의 투명성 제고를 강조해 온 시정방침과 상당한 온도차를 보일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시 관계자는 “1차 검토를 토대로 한 심층 분석이 이뤄질 예정으로 빠른 시일 내 결과 도출이 이뤄질 것”이라며 “관련 의혹들에 대한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관련 의혹들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빠른 검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