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지구도 착공 늦어져… 신혼부부·청년 등 주거안정 빨간불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대전 주거취약계층의 전세난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의 임대 공급에 좀처럼 파란불이 켜지지 않고 있다.
5일 대전시의 2021년 아파트 분양계획에 따르면 대덕지구 공공지원 민간임대 2블록(임대 1245세대)과 4블록(545세대)은 상반기, 학하지구 민간임대주택 1블록(분양 821세대·임대 210세대)과 2블록(분양 61세대·임대 676세대)은 하반기 공급이 계획됐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박근혜 정부때 처음 도입된 뉴스테이 사업이 변형된 것으로 정부가 지원하는 기업형 임대주택이다.
무주택자 우선 공급을 원칙으로 주변 시세 90~95% 수준 임대료를 적용하고 전체 세대수의 20% 이상은 주거지원 계층에게 주변 시세 대비 70~85%의 임대료로 특별 공급한다.
대덕지구와 학하지구의 경우 전체 세대수의 30%를 특별 공급키로 하면서 주거취약계층에게 돌아갈 혜택이 더 늘었다.
최근 대전 부동산 시장 과열로 전셋값이 크게 올라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진 신혼부부, 청년 등의 수요자들은 이런 임대주택 공급이 절실하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공급이 늦춰지고 있다.
학하지구 민간임대주택은 지난달 12일 대전시 지구계획 변경 심의에서 재심의를 받았다.
지구계획 변경은 아파트 건립을 위해 자연녹지지역을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 변경하는 절차다.
경미한 사항으로 추가 보완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란 게 사업시행자 측 입장이다.
문제는 이후 거쳐야할 산적한 행정절차들이다.
특히 학하지구의 경우 민간임대주택 특별법에 따라 통합심의가 가능하지만, 해당 부지 일부가 해발 70m에 위치해 특별경관심의를 받아야 한다.
이런 난항이 예상되면서 올해 임대주택 공급 계획도 해를 넘길 공산이 커졌다.
사업시행사인 평정 관계자는 "저렴한 시세로 주거취약계층에게 공급되는 만큼 일반분양이 아닌 임대 부분이라도 하루빨리 공급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인허가 지원이 필요하다"며 "행정지원과 더불어 주거취약계층이 만족할 수 있는 브랜드 임대아파트 건설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덕지구 공공지원 민간임대(용산동 호반써밋그랜드파크)는 지난해 일반분양만 먼저 개시됐다.
임대주택 부지 내 송전탑 이설과 관련한 절차에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다.
최근 송전선로 지중화를 위한 한국전력과 협의를 마쳤고 이와 관련한 문제는 일단락됐다.
현재는 관통도로 폐도에 따른 우회도로 임시전용허가를 위해 유성구청과 협의를 거치고 있는 단계다.
이 같은 절차가 매듭지어지면 오는 7~8월 착공을 시작해 임차임 청약이 개시될 전망이다.
대전용산개발 관계자는 "우회도로 문제는 유성구에서도 적극적으로 이 문제가 풀리면 임대 공급도 속도가 붙게될 전망"이라며 "공공지원 민간임대는 고급형 임대주택인 만큼 높은 품질로 주거안정을 꾀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