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장은 물론 기초·광역의원 선거 밀려 비호감
충북도내에서는 이번 6·2지방선거의 교육의원 선출을 놓고 출마의사를 공식 발표했거나 출마예정인 예비후보들이 바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오는 5월12일까지 예비후보등록을 마쳐야 하며 5월13일과 14일 중 후보등록을 마치면 선거 전날까지 16일 간 선거유세를 벌일 수 있도록 돼 있다.
그러나 충북도내에서 국회의원 선거구가 8곳, 도의원 선거구가 28곳인 것과는 달리 교육의원은 단 4개 선거구만 획정돼 있어 시간적·공간적으로 유세활동을 벌이기에는 역부족이다.
실제로 청주시 상당구와 영동·보은·옥천을 선거구역으로 하는 충북도 1선거구의 경우 남부 3군은 서로 연관성이 있고 같은 생활권으로 볼 수 있으나 청주시 상당구와는 전혀 생활권이어서 전혀 맞지 않는 선거구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또 인구 3만5000여명~5만4000여명에 불과한 남부 3군에서 교육의원 예비후보를 배출하는 경우 24만6000여명의 인구를 보유한 청주시 상당구 출신의 예비후보를 앞지르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이번 선거에 교육의원으로 출마하는 예비후보 A 씨는 "그동안 생활해 온 청주지역에서는 많은 인맥을 쌓아왔지만 남부 3군에는 나를 도와줄만한 조직이 갖춰져 있지 않아 어려움이 많다"며 "청주시를 둘러싸고 있는 청원군과 음성·괴산·증평·진천 등 중부 4군을 한데 묶은 4선거구에서도 같은 상황이 전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A 씨는 "더욱이 투표구도 85~139개소나 돼 출마자들이 2주 남짓한 기간 동안 이 지역을 모두 다니기를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 출마예정자들은 고군분투를 하고 있으나 유권자들의 무관심은 가장 큰 숙제가 되고 있다.
무려 8명의 주민대표를 선출해야 하는 상황에서 유권자 대부분은 교육의원이 무엇인지 조차 모르고 있으며 이름을 밝혀도 누군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 적임자를 제대로 선택할 수 있을지에 의문이 일고 있다.
수십 년 간 교육자로 봉직해온 B 예비후보는 "제자들이나 학부모들을 제외하고는 인사를 해도 누구냐고 묻는가 하면 교육의원이 뭐냐고 묻는 경우가 많아 힘이 빠진다"며 "인지도가 높은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