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뽑으면 4년 후회 ‘똑바로 보고 바로 찍자’
상태바
잘못뽑으면 4년 후회 ‘똑바로 보고 바로 찍자’
  • 나인문 기자
  • 승인 2010년 05월 28일 00시 04분
  • 지면게재일 2010년 05월 28일 금요일
  • 1면
  • 지면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약·경력·병역·납세·전과등 꼼꼼히 살펴야
▲ 27일 6·2지방선거 부재자 투표가 전국적으로 일제히 시작된 가운데 계룡시청에서 군인들과 여경, 부재자 신고를 한 유권자가 투표를 하기위해 대기하고 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앞으로 4년 간 각급 지방자치단체 살림과 교육을 책임질 지역 일꾼들을 뽑는 6·2 지방선거일이 28일로 D-5일을 맞는다.

이번 선거를 후보들만의 잔치로 끝낼 것인지, 아니면 국민의 축제로 만들 것인지는 유권자의 손에 달렸다.

2006년 5·31 지방선거를 통해 취임한 민선4기 기초단체장 230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10명이 임기 중 비리와 위법행위로 기소된 점을 보더라도 선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는 않는다. 이는 단체장 개인의 도덕성 문제기도 하지만, 유권자가 잘못 뽑은 책임 또한 크기 때문이다.

이번 선거는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출직과 비례대표 광역·기초의원 등 1인 8표를 행사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칫 ‘묻지마 투표’와 ‘무관심’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한번 잘못 뽑으면 4년을 망친다는 점에 주목, 이번에야말로 소중한 투표권을 반드시, 그리고 올바르게 행사해 옥석을 제대로 가려내야 한다.

이달말까지 각 가정에 배달되는 홍보물을 꼼꼼히 살펴보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www.nec.go.kr)에 게시된 후보자 정보를 검색하면 공약·경력·재산·병역·납세·전과기록까지 파악할 수 있다. 4년 간 지역살림과 자녀의 교육을 맡을 인물을 뽑는 선거라는 점에서 유권자들은 후보검증에 1시간 가량의 수고로움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후보 중에는 민종기 당진군수와 같이 각 정당에서 제대로 걸러내지 못한 ‘불량 후보’들이 적지 않게 숨어 있다. 후보자의 면면을 따져보면 흠결 있는 후보가 한둘이 아니다. 병역미필자, 전과자, 세금체납자가 난립하고 있다. 광역단체장 남성 후보 54명 가운데 35.2%인 19명이 질병, 구속 등의 이유로 병역을 이행하지 않았다.

기초단체장은 15.7%가 병역미필자다. 지난 10년 간 전체 국민의 병역면제비율이 4% 남짓인데 비하면 군대 안 간 후보가 지나치게 많다. 정당한 이유로 면제받은 사람까지 비난받아선 안 되지만 철저한 검증이 요구된다.

교육감과 교육의원 후보의 경우 정당과는 무관하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때문에 후보의 기호를 무시하고 인물 됨됨이와 정책에만 신경써야 한다. 일꾼을 잘못 뽑으면 지역주민들만 4년 간 고생하게 된다.

여야 정치권은 이명박 정부의 임기가 반환점을 도는 시기에 치러지는 이번 선거를 2012년 총선과 대선의 전초전으로 여기고 있다. 여야는 어느 때보다 치열한 총력 선거전을 펼치고 있고, 현·전 정권 간 정면대결 구도로 몰아가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지역일꾼을 뽑는 선거라는 의미가 상당히 퇴색돼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번 선거는 광역단체장 16명, 기초단체장 228명, 광역의원 761명, 기초의원 2888명, 교육감 16명, 교육의원 82명 등 총 3991명의 내고장 지역 일꾼을 뽑는 선거다. 진정한 풀뿌리 민주주의는 유권자의 관심과 손끝에서 시작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선거개혁은 결국 유권자들의 개혁의지에 달려 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빠른 검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