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대학생들의 투표율 높이기에 공을 들이며 이러한 법규를 근거로 투표의 장을 만들어 주지 않는 것은 이율배반적인 태도다. 지역의 50%에 가까운 대학생들은 타지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있다. 투표에 참여하고 싶어도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져 투표권 행사가 어렵다. 20대 투표율이 20%대에 머무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18대 총선의 경우 20대 투표율이 19%에 불과했지만 부재자 투표소가 설치된 학교의 투표율은 70%가 넘었다.
20대에게 정치 무관심을 지적하면서 학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요건을 까다롭게 일괄 적용하는 것은 융통성 없는 처사다. 지난 10여 년간 다발적으로 대학생의 정치참여와 투표율 재고를 위해 대학 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와 그 기준에 대한 완화를 요구했지만 묵살된 것이 한 예다. '투표로 말하세요'라는 구호는 공염불인가. 20대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자구책을 마련하지 않는 것은 근시안적 정책으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
대학교를 비롯해 다중이 있는 곳에 투표소를 만들어 주는 것은 당연한 유권자의 권리이자 선거의 올바른 의무다. 낮은 투표율은 대표성과 민주주의의 위기를 부른다. 게다가 세대 간 투표참여 격차가 이렇게 벌어지면 그나마도 '반쪽 대표성'에 그칠 수밖에 없다. 20대들의 '참정권' 주장에 정치권과 선관위가 귀를 기울여야 할 까닭이 여기에 있다. 결국 제도적 배려가 미흡한 상태에서 20대의 탈정치화 성향을 탓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대학생들이 '지역 유권자'로써 목소리를 높일 때 지역정치와 정책은 살아난다. 사회동향연구소에 따르면 이번 지방선거에서 대학생 73.5%가 투표하겠다고 한다. 이는 대학생들이 정치에 대한 스스로의 권리와 의무를 외면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다. 말로만 투표율 걱정이 아닌, 진정 대학생의 투표참여와 독려 차원의 환경 조성 및 기준 완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 젊은 층의 투표율을 높여야 정치 선진화가 앞당겨진다.
투표율을 얻을수 있으리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