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조차 몰라 줄투표·기권표 우려
직장인 신모(29) 씨는 교육감과 교육의원 투표용지에는 기표를 하지 않을 방침이다. 관심도가 높은 자치단체장 선거는 후보자별로 꼼꼼히 따져 보면서 지지후보를 확정할 계획이지만 학부모도 아닌데 교육계 선거에 참여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계 수장을 선출하는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민심왜곡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자치단체장 선거에 묻혀 선거에 대한 관심도가 워낙 낮아 후보가 누구인지 모르고 찍는 '묻지마 투표'와 투표 자체를 아예 포기하는 '기권표' 양산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6·2 교육감·교육의원 선거가 종반전으로 치닫고 있지만 유권자들의 관심은 여전히 냉담하다.
지지후보를 결정하지 못했거나 후보 자체가 누구인지 모르고 있는 부동층 유권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각종 여론조사 결과 확인되는 등 선거분위기는 여전히 살아나지 않고 있다.
또 선거 자체에 대한 인식이 워낙 낮다 보니 후보자별로 인물과 공약을 검증하기에도 한계가 있고 교육분야로 한정된 만큼 검증수단도 취약해 유권자들의 시선을 집중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치단체장 투표와 같은 순서로 기표하는 ‘줄투표’와 후보자에 대한 정보나 판단없이 대충 투표하는 '묻지마 투표', 투표자체를 포기하는 '기권표' 등으로 인해 정확한 민심이 반영되지 못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녀들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교육선거인 만큼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교육계 한 인사는 "교육예산을 집행하고 감시하는 인사를 뽑는 중요한 선거로 잘못된 교육수장을 뽑을 경우 아이들의 교육을 망칠 수 있다"며 "귀찮더라도 선거공보물을 꼼꼼히 살피고 확인하는 노력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