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가락이 닮았다'
상태바
'발가락이 닮았다'
  • 충청투데이
  • 승인 2013년 08월 11일 19시 35분
  • 지면게재일 2013년 08월 12일 월요일
  • 17면
  • 지면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투데이 포럼] 변평섭 세종특별자치시 정무부시장

트위터를 통해 더욱 유명한 작가 이외수 씨가 지난 2월 모 여인에 의해 혼외(婚外) 아들에 대한 친자확인 및 양육비 청구사건이 법원에 제소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대중의 존경을 받던 작가가 혼외 아들을 가졌다는 사실만으로도 놀라운 사건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그 아들이 어떻게 20대 청년이 될 때까지 베일에 가려져 있었을까? 호사가들에 의해 사건이 확대 재생산되는 게 현실이다.

요즘은 중앙언론사 회장을 지낸 조 모 씨를 상대로 민주당 대변인을 지냈던 차모 씨가 친자확인 소송을 제기해 언론에 화제가 되고 있다. 이들은 유부남 유부녀이면서도 은밀한 교제를 해오다 아내와 남편을 떨쳐내고 동거를 시작했으며 차 씨는 그렇게 해서 생긴 아들을 하와이에서 출산했다는 것. 그러나 조 전회장이 일본 여성과 결혼을 하고 생활비와 양육비마저 끊어버리자 ‘친자확인'의 극단적 처방을 내렸다는 것이 대체적인 보도 내용이다. 물론 '친자확인' 소송과 함께 차 씨는 2004년부터 주지 않은 양육비 3억원 중 1억원과 위자료 1억원을 청구했는데 친자로 확인되면 그 아들은 재산상속의 권리도 갖게 된다.

실제로 지난달 북한 주민이 우리 변호사를 선임해 친자확인소송에서 승소함으로써 통일 후 북한의 자녀들도 서울에 살고 있는 아버지의 재산을 일정분 상속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대법원은 판결문에서 "원고(북한에 남아 있는 아들)가 모발과 손톱을 채취하는 장면 및 소송위임장 작성 장면이 모두 동영상으로 촬영됐고 북한의 공민증과 대조할 때 의심할만한 정황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친자확인 소송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다. 프랑스의 법무장관으로 독신에다 미모가 뛰어나 시선을 끌었던 라시다 다티는 장관 재임 중 아기의 아버지를 밝히지 않은 채 딸을 낳았다. 그러다 그녀는 한참 후 아이의 아버지가 호텔 재벌 회장임을 밝혔는데도 남자 측에서 내 아이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바람에 친자확인 소송에까지 들어갔다. 이것이 오늘 우리의 세태다.

대법원 집계에 의하면 친자확인 소송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데 2007년 2734건이던 게 2011년에는 5050건으로 껑충 뛰었다. 이처럼 친자확인 소송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은 DNA 감식의 과학적 발달이 크게 기여하기 때문이지만 무엇보다 남녀의 불륜, 부정(不貞)이 만연한데서 원인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러다보니 멀쩡한 젊은 부부들 사이에서까지 자신들이 낳은 아이의 DNA 감식을 의뢰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그만큼 부부사이에서도 불신이 팽배해지는 세상이 되어 버린 것이다.

앞서 이야기한 프랑스 전 법무장관 다티가 아기 아버지로 지목한 재벌가에게 친자확인 소송을 제기했을 때 그 재벌 회장이 '그 여자가 낳은 아기는 그녀가 상대한 남자들 가운데 한 아이일 것이다.'고 응수한 것이 이와 같은 혼탁한 성(性)문화를 잘 표현한 것이리라.

1932년에 발표된 김동인(金東仁)의 소설 '발가락이 닮았다'가 당시 사회에 큰 화제가 되었었다. 아내를 의심한 남자가 훗날 아이의 발가락 - 증조부 때부터 내려 온 자기들 집안 남자들의 가운데 발가락이 가장 긴 특징이 닮았다는 데서 위안을 찾는 내용이 매우 휴머니티하게 다룬 소설이다.

그런데 이제는 발가락이 아니라 살벌하게 DNA 검사를 통해 친자확인을 하는 세상이 되었으니 참으로 개탄스럽다.

빠른 검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