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253+비례47' 원칙 합의… 충청권 유성·천안병 증설 유력
상태바
선거구 '253+비례47' 원칙 합의… 충청권 유성·천안병 증설 유력
  • 이병욱 기자
  • 승인 2016년 01월 24일 19시 18분
  • 지면게재일 2016년 01월 25일 월요일
  • 1면
  • 지면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야 지역구 253석 잠정합의
대전 유성구 분구 확실시
천안·아산 각각 1석씩 늘고
부여·청양·공주 통합 불가피
충북 의석수 현행 유지될 듯
여·야는 지난 주말 협상을 통해 20대 총선 지역구 의석 수를 253석으로 현행보다 7석 늘리기로 잠정 합의하면서 추측이 난무했던 선거구 획정안도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관련기사 5면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김정훈 정책위의장·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원내대표·이목희 정책위의장은 23일과 24일 국회에서 잇달아 회동을 갖고, 국회의원 정수를 기존의 300석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7석’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여·야의 ‘253석 합의’로 당장 관심을 끄는 것은 충청권의 지역구 변동 여부다. 인구산정 기준일을 지난해 10월말로 설정하고, 인구 상한과 하한을 각각 28만명과 14만명으로 가정할 경우 대전에서는 약 33만 인구를 보유한 유성의 분구가 확실시된다.

충남은 천안과 아산에서 각각 1석씩 증설될 것으로 보인다. 천안은 ‘병’ 지역구가 신설되고, 아산은 ‘갑’과 ‘을’로 나뉘는 것. 다만 부여·청양(약 10만 3000명)과 공주(약 11만 1000명)가 인구 하한 미달로 통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의석 수 감소가 우려됐던 충북은 기존 선거구가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청주 지역 4개 선거구는 물론 통·폐합의 위기감이 감돌았던 보은·옥천·영동도 자치 시·군·구의 분할 예외지역 포함 여부에 상관 없이 지역구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20대 총선의 충청권 선거구는 △대전 +1 △충남 +1 △충북 0 등 모두 2석 증가가 확실시된다. 다만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노동개혁·경제활성화 관련 법안 등 각종 쟁점법안과 맞물려 1월 임시국회 내에서 처리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치권에서는 각 당의 경선이 코앞으로 다가온 만큼 내달 중순까지는 선거구 획정 결과가 나와야 한다는 분위기다. 그동안 지연에 지연을 거듭하던 선거구 획정 문제가 우여곡절 끝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가운데 오는 설 연휴 직후 정치권의 긴장도는 극에 달할 전망이다.

서울=이병욱 기자 shoda@cctoday.co.kr
빠른 검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