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변방으로 밀려나는 충청, 표심 제대로 발현 안 될 수도

정치권의 영입 인사들 면면이 대부분 수도권과 여야의 기반지역에 그치고 있어 충청권에서는 이렇다 할 반향을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재영입에서조차 소외론을 느끼는 충청권 표심이 과연 이번 제20대 총선에서 역대 선거에서처럼 ‘표심의 바로미터’ 역할을 할 지 정치 무관심으로 이어질 지 각종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실제 최근 들어 각 정당에서 각계 유명인사들의 영입소식이 전해졌지만 이들은 대부분 수도권이나 영·호남을 노린 인사들로, 충청권 출향인사의 ‘금의환향’ 뉴스가 사실상 부각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까지 진행된 여야의 인재영입에서 추진됐거나 거론되고 있는 인사는 새누리당 김신호 전 대전시교육감과 정운찬 전 국무총리 정도다.
가장 큰 이슈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정 전 총리의 경우 충청권에서는 이명박정부 당시 ‘세종시 수정안’ 옹호로 인해 여론이 좋지 않음에도 정치권이 영입경쟁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충청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역 정가에서는 “인재영입은 물론 공천 관련 이슈조차 수도권과 영호남에 집중되고 있다”는 소외론이 일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제20대 총선에서 자칫 충청권의 표심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 지역 정가 인사는 “역대 총선마다 크고 작은 충청권 관련 이슈들이 자리잡으며 충청 표심이 ‘바로미터’의 역할을 한 부분이 있었는데 이번 총선은 지역정당마저 사라지며 충청이 다소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며 “충청이 정치권 변방으로 물러나는 현상이 진행되고 있어 충청권 투표율 저하 등 표의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여기에 대전의 경우 권선택 대전시장의 대법원 판결에 따라 재선거가 일어날 가능성이 여전히 자리잡고 있어 만약 재선거 실시가 결정되면 시장 선거에 총선이 잠식될 수 있다는 점도 국회 입성에 도전하는 이들에게는 걱정거리가 되고 있다.
대전의 한 예비후보는 “만약에 대전시장 재선거가 벌어지게 되면 총선은 그 순간 사라지게 된다. 모든 총선 이슈가 시장선거에 묻히게 될 것”이라며 “정치권에 대한 유권자들의 ‘충청소외론’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시장선거까지 벌어지게 되면 총선 주자들의 선거운동 역시 힘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별취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