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각 이전 어려움 고한 것” 대전시당 진화 나섰지만 타격 우려에 불만 새어나와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대전시당위원장은 28일 김종인 대표의 ‘국회 세종 이전’ 공약 후퇴 발언과 관련, 충청투데이와 통화에서 이같이 답했다. 논란을 진화하려는 노력이 엿보였지만 당혹감이 잔뜩 묻어있는 목소리였다. 그만큼 지역 정치권은 ‘세종시’가 충청 표심에 미치는 영향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김 대표가 당의 총선공약단이 발표했던 ‘국회 세종 이전’ 공약을 번복하자 충청권 더민주는 ‘비상’이 걸린 분위기다. 안그래도 더민주는 국민의당과 분열하며 ‘지지세 겹침’ 현상이 현실화 될 위기에 처했다. 또 이해찬 의원 공천배제 등 각종 공천 내홍으로 ‘충청권 핵심 지지층’ 이탈까지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당 총선공약단의 ‘국회 세종 이전’ 공약을 김 대표가 직접 “시기상조”라고 번복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실제 더민주 대전시당은 이날 논평을 통해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해 “김 대표가 단기적으로 세종시에 국회분원을 설치하고 장기적으로 본원 이전을 논의·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진정한 의미의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천착이며 고뇌의 반증”이라고 진화에 나섰다.
더민주 대전시당은 이어 “더민주는 국회 본원의 세종시 이전 필요성에 동의하지만 관련법 등에 따라 즉각적인 이전의 어려움을 진솔하게 충청민에게 고한 것”이라며 “더민주는 세종시가 명실상부한 국가균형발전의 상징과 총아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국회 본원의 세종시 이전이 절실하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총선 정국 종반에 불거진 ‘세종 공약 번복’이 큰 타격이 될 수 있음을 우려하는 충청권 당 내부에서는 김 대표에 대한 불만이 새어나오고 있다.
더민주 한 당원은 “세종시는 충청 표심에 상당히 민감한 부분인데 그걸 하필 대표가 대전에 직접 와서 공약 번복을 밝혔다는 게 타격”이라며 “혹 떼러 왔다가 혹 붙이고 갔다는 말이 생각난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당 내에서는 공약 관리를 허술하게 한 중앙당에 큰 불만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또 다른 더민주 한 인사는 “충청권에서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로 선거를 치르는 게 수도권보다 더 어렵다는 걸 당 지도부만 모르는 모양”이라며 “공약을 대표가 읽어보지 않고 발표한 건지, 대표가 수도권 민심 수습을 위해 당 공약을 하루아침에 바꾼 건지 몰라도 이렇게 중요한 일처리를 어떻게 이렇게 허술하게 할 수 있느냐”고 분노했다. 특별취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