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업체 초미세먼지 7.89%
소각장 밀집 인한 영향 높아
국내외 개선협의체 구성 필요

<글 싣는 순서>
上. 미세먼지 이유는
下. 미세먼지 대책은
[충청투데이 송휘헌 기자] 청주의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소각장과 관련한 정밀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도로 이동오염원 저감 계획, 타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체 구성, 시민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CAPSS(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2017년 기준)의 폐기물 처리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청주 전체 초미세먼지 배출량 가운데 1.27%가 폐기물 처리에 의한 것으로 나왔다. 1.27%의 수치는 전국 평균 0.26%의 4.9배다. 이는 청주시 소각시설 용량이 전국의 18%를 차지하는 밀집 현상에서 기인한다. 또 민간폐기물업체가 소각장 신·증설을 계획하고 있어 사실상 계속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폐기물처리 PM2.5 기여도(1차)는 1.27%이지만 연구용역결과 1차와 2차(질소산화물 등 화학반응 미세먼지 전환) 배출률 추정치를 산출해보면 7.89%라는 기여도가 나타났다.
청주 지역 소각시설에서 초미세먼지의 7.89%를 배출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청주시 전체에서 발생한 PM2.5(1차+2차) 배출량 생물성 연소 7.92%, 비산업연소 8.17%, 에너지 수송 및 저장 9.81%, 비산먼지 10.87% 등의 기여도와 비슷한 수치다.
연구용역을 진행한 구태완 연구원(공학박사)은 “청주시에 소각장이 밀집해 있어 (소각장)전국 평균 대비 초미세먼지 영향이 높다”라며 “이번 연구용역은 청주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고 소각장 등에 대한 영향 등을 분석하려면 더 세밀한 연구용역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청주의 미세먼지 자체배출은 평균적으로 약 20% 정도이다. 나머지 약 80%는 국외·국내에서 유입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청주시의 미세먼지 자체 정책과 함께 다른 지자체와 긴밀한 협조가 중요하다.
청주시의 자체 정책이 중요한 이유는 ‘상승효과’ 때문이다. 청주시의 초미세먼지 배출량이 많을 때와 국외·국내 초미세먼지 유입이 높을 때 여러 요인의 작용으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한다.
시는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미세먼지 저감 사업으로 166t 저감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했다. 이 중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사업이 113t의 효과를 내 68%를 차지했다. 시는 조기폐차 지원사업을 환경부 계획인 2024년보다 2년 앞당긴 2022년에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는 조기폐차 지원사업의 완료가 임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방향 전환이 필요한 시점으로 비도로이용오염원인 경유를 사용하는 건설기계와 농기계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사업에 속도를 내야 한다. 특히 농기계의 경우 현황조차 파악이 되질 않아 실태조사부터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함께 노천소각 중 농촌잔재물 소각이 매년 95t의 PM2.5를 배출하는 것으로 조사돼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결과도 나왔다.

국외·국내의 미세먼지 개선을 위한 협의체 구성 등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지난 2019년 경기도와 화성시, 평택시, 이천시, 오산시, 안성시, 여주시 등 경기도와 남부권역 6개 시가 미세먼지 공동협의체를 구성해 특성을 고려한 미세먼지 오염원 파악 공동 조사연구 등을 추진하고 중앙정부에 현안 해결건의, 예산지원을 공동으로 요청했다.
충북도와 청주시도 협의체 구성 등을 고려, 지자체의 역할과 중앙정부 건의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움직임이 대안으로 보인다.
한편 청주시는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개년 ‘청주시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대한 계획을 수립했다. 5년간 약 5032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올해는 6개 분야 37개 사업에 총 642억 원을 투입한다. <끝>
송휘헌 기자 hhso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