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전시당 잇단 특위구성 ‘배경 관심’
상태바
與 대전시당 잇단 특위구성 ‘배경 관심’
  • 특별취재반
  • 승인 2016년 01월 10일 19시 08분
  • 지면게재일 2016년 01월 11일 월요일
  • 5면
  • 지면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염홍철·남충희·박성효 내세워
총선 선거기구 관측 지배적
“인지도 이용하기 위한 포석”
새누리당 대전시당이 염홍철 전 대전시장과 남충희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에 이어 박성효 전 대전시장까지 전면에 내세운 특별기구를 잇따라 설립하면서 지역 정가의 고개를 ‘갸웃’하게 하고 있다.

염 전 시장의 위즈덤위원회를 시작으로 남 전 부지사의 대전창조경제추진특별위원회, 박 전 시장의 지역발전특별위원회까지 짧은 기간 동안 모두 3개의 특별위원회가 생겼지만 사실상 이들 특위의 뚜렷한 차이점을 구별하기 어렵다는 점에서다.

결국 이들 기구의 설립 목적을 두고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총선 승리’를 내세우고 있지만 이들 특위가 뚜렷한 전문분야나 특장점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만큼 ‘지역발전’의 목적보다는 사실상 새누리당 대전시당의 총선 선거기구가 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 지난해 11월 염 전 시장의 위즈덤위원회 창립 논의가 오가던 당시만 해도 ‘염 전 시장의 정계복귀’라거나 ‘대전시장 재선거를 위한 포석’이라는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대전시당은 남 전 부지사의 창조경제추진특위와 박 전 시장의 지역발전특위 등을 잇따라 설립했다.

이에 대해 지역 정치권 인사들은 “새누리당 대전시당의 경우 과거 강창희 전 국회의장의 불출마 이후 ‘자신의 지역구’를 벗어나서도 인지도를 발휘할 국회의원이 없는 만큼 이번 총선에서 대전 전체에서 알아봐 줄 ‘얼굴’이 필요했을 것”이라며 “총선에서 염 전 시장과 박 전 시장의 인지도를 이용하기 위해 특위를 연달아 구성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풀이했다.

또 다른 정치권 한 인사는 “특위의 수장들 면면을 보면 언제든 ‘대전시장 후보’로 꼽힐 수 있는 인사들이고, 당에서는 ‘특별기구’라는 안전망 내에서 자신의 조직을 탄탄하게 꾸릴 판을 깔아줬다”며 “지역발전이 목표였다면 전문적인 분야를 세분화해 구성했을텐데 각 분야 측근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조직을 꾸리도록 해 준 점은 아무래도 총선을 염두에 뒀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앞으로 이들 특위가 내실보다는 외형 확대에 더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특별취재반
빠른 검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